군산타임즈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메인 메뉴


콘텐츠

정치·행정

‘도약에서 완성으로’…김관영 도정 3년, 전북 변화의 성적표는?

전북특별자치도 출범, 기업 유치, 교육 혁신… 인구감소·민생 체감 한계

전성룡 기자(jsl021@hanmail.net)2025-07-02 10:12:59


민선 8기 김관영 전북도정이 반환점을 돌았다. 김 지사는 7월 1일 도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지난 3년간의 도정 성과와 향후 과제를 도민 앞에 공개했다. “도약의 시기를 지나 이제는 완성의 시간으로 나아가겠다”는 김 지사의 발언처럼, 전북도정은 정책적 전환과 지역 미래 산업 발굴에 집중하며 굵직한 발자취를 남겼다.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 전북특별자치도라는 새로운 이름이다. 2022년 전북특별법 제정, 2023년 전부개정안 통과는 김 지사 취임 직후부터 추진한 핵심 국정과제로, 여야 협치를 통해 133일 만에 법안을 통과시키는 정치력도 함께 증명했다. 이에 따라 전북은 총 333개 특례를 확보하며, 독자적인 자치권과 국가 사무 이양의 기반을 마련했다.  


또 하나의 눈에 띄는 성과는 기업 유치다. 김 지사는 지난 3년간 총 198개 기업과 16조5000억 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체결했다. 특히 2023년 7월, 새만금이 정부 지정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확정되며 전북의 산업지도가 바뀌고 있다. 수소 산업, 방위산업, 수리조선 등 미래형 산업을 전북형 모델로 키우기 위한 기반도 본격화됐다.  


교육 분야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전북은 RISE, RIS, 글로컬대학, 교육발전특구 등 교육부 핵심사업에 다수 선정됐고, 주거 분야에선 ‘반할주택’이라는 브랜드로 반값 아파트 정책을 밀어붙이며 청년층 유입과 출산 장려를 동시에 꾀하고 있다. 출산 시 임대료를 전액 감면하는 파격 혜택은 전국적으로도 주목을 받았다.  


다만, 도정 후반기를 준비하는 김 지사 앞에 놓인 과제도 만만치 않다. 우선 인구 감소와 지방소멸 위기는 여전히 전북이 직면한 구조적 난제다. 청년층 유출은 멈추지 않고 있으며, 민생경제 회복도 체감과 괴리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률 지표는 상승세지만 자영업자, 소상공인의 현실은 여전히 팍팍하다.  


전주-완주 통합 문제도 도정 시험대로 떠올랐다. 통합 공론화와 주민투표 절차가 진행 중이나, 완주지역 반대 여론이 뚜렷하고, 설득 과정에서의 소통 부족 지적도 이어진다. 김 지사는 “소그룹 설득이나 개별 접촉을 통한 공감대 형성에 나서겠다”고 밝혔지만, 아직 뚜렷한 해결책은 보이지 않는다.  


지난해 세계잼버리 대회 논란은 김관영 도정의 국제 신뢰도에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 반면 같은 해 열린 세계한인비즈니스대회에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성과를 올리며 국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도 확인했다. 전북이 제안한 2036 하계올림픽 공동 유치 구상은 이러한 대외 신뢰 회복의 계기를 삼으려는 전략으로 보인다.  


전북도는 도정 후반기 1년을 ‘완성의 시간’으로 규정하고 ‘5성 전략’에 집중할 계획이다. ▲일자리 창출 ▲산업 전환 ▲강점산업 고도화 ▲SOC 기반 확충 ▲복지·인재 양성이라는 5대 핵심 목표 아래, 도약의 기반을 실제 변화로 연결하겠다는 복안이다. 이차전지, 방위산업, 바이오헬스 등 미래산업 육성은 물론, 새만금과 전주권의 균형 발전에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김관영 지사는 “전북을 새롭게 만들라는 도민의 명령에 절박한 심정으로 달려왔다”라며, “이제는 그 성과를 도민의 삶으로 증명할 시간”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진정한 도정의 완성은 숫자와 발표만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지역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변화, 그리고 전북이라는 이름의 존재감을 확실히 각인시키는 미래 전략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그 완성은 유효할 것이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카피라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