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의회 새만금특별위원회(위원장 김영일, 이하 새만금특위)는 19일, 군산항과 새만금신항을 하나의 국가관리무역항으로 통합한 ‘새만금항’의 원포트 체계 구축과 관련해 군산시의 관할권 확립과 실질적인 운영 주도권 확보를 강하게 촉구했다.
새만금특위는 이날 발표한 ‘새만금항 원포트 체계 구축에 따른 군산시 관할권 확립과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에서, 지난 5월 2일 중앙항만정책심의회가 결정한 원포트 지정이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닌, 전북 해양물류 체계 전환의 중대한 분기점임을 분명히 했다.
특히 “군산항은 중소형 선박 및 기존 산업 물동량을, 새만금신항은 대형 선박 및 미래 신산업을 담당하는 구조로 재편돼야 하며, 이는 항만 기능 간 시너지 창출을 목표로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새만금신항이 군산시 관할 해역인 신시도와 두리도 사이 매립지에 조성 중인 만큼, 군산시는 관할권 주장을 보다 명확히 하고 주권자로서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영일 위원장은 “군산시는 126년간의 해양행정과 항만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행정·법률적 절차를 철저히 이행해 관할권(소유권)을 확고히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새만금특위는 원포트 체계가 실질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군산항과 새만금신항 간 기능 분담과 해양 기반 인프라 구축, 산업단지 및 물류 인프라와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한 대형 선박과 중소형 선박의 물동량이 균형 있게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 지원 및 민간 투자 유치 전략도 병행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에서는 새만금신항 개발과 관련한 지역 어민과 항만 종사자들의 생존권 문제도 제기됐다. “지역 주민과의 충분한 공감대 없이 추진되는 사업은 갈등을 증폭시키고 원활한 개항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구체적인 상생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끝으로 “군산시는 도민과의 소통을 강화해 불필요한 갈등을 최소화하고, 상생과 협력의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며, “지자체 간 감정적 대립이 아닌 합리적인 협력 구조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만금특위는 향후에도 항만 기능의 효율적 운영, 관계기관과의 협력, 주민 생존권 보장, 그리고 군산항과 새만금신항의 동반 발전을 위한 정책 추진에 지속적으로 앞장설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