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공공 배달앱 ‘배달의 명수’의 활성화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22일 군산시는 대형 플랫폼의 독과점 구조 속에서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에 시달리는 지역 소상공인을 돕기 위해 ‘배달의 명수’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민간앱인 ‘배달의 민족’이 포장 중개에도 6.8%의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하면서 자영업자의 반발이 커지는 가운데, 군산시는 공공앱의 역할을 보다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시는 이달 초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두 차례 간담회를 열고, 가맹점주들의 현장 목소리를 들었다. 간담회에서는 “정책이 점주 처우 개선에만 집중돼 소비자 유입 방안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으며, 서비스 불편, 낮은 인지도, 홍보 부족 등도 주요 문제로 제기됐다.
이에 따라 시는 수수료를 전면 면제하는 기존 정책에서 일부 조정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 재원을 소비자 혜택으로 전환하는 방향을 검토 중이다. 설문조사도 병행해 가맹점과 소비자 만족도 및 불편 사항을 폭넓게 수렴하고 있다.
‘배달의 명수’ 운영사 역시 예약주문, 선물하기 등 편의 기능을 개선하고 가맹점 모집을 위해 현장 홍보에 힘쓰는 등 서비스 품질 제고에 나서고 있다.
이헌현 일자리경제과장은 “공공 배달앱은 단순한 배달 수단이 아니라 지역 상권을 살리는 중요한 도구”라며 “지속적인 제도 개선과 지원으로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로 자리 잡게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배달의 명수’는 3월 말 기준 누적 매출 337억 원을 기록했으며, 현재까지도 소상공인 수수료를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