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가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의 본격 조성을 위한 미래전략 수립 및 관리운영 계획 중간보고회를 개최하며 수산식품 산업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25일, 시는 군산대학교 산학협력단(RISE사업단)과 함께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단지 관리운영계획 연구용역 및 미래전략 중간보고회’, 그리고 수산식품 리빙랩 협의체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수산식품위원회(위원장 김영민 군산시 부시장)를 비롯해 새만금개발청, 전북도청, 군산대 RISE사업단, 민간 수산식품기업 등 각계 전문가 40여 명이 참석해 중간 연구결과를 공유하고 단지 운영의 실효성 및 지속 가능성 확보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설명회는 전북권 최초의 수산식품 수출가공 단지로 조성 중인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의 조기 활성화를 위한 의미 있는 자리였다. 특히, 전북 RISE사업이 주관하는 ‘스마트 수산식품 및 해양바이오 중점 리빙랩 협의체 구축’ 프로젝트가 최근 ‘동행협력 지역발전 사업’에 선정되면서, 산학연 연계를 통한 실질적인 지역문제 해결이 주요 의제로 떠올랐다.
이날 회의에서는 ▲수산식품 기업의 장비·인력 부족 해소 ▲공동 기술개발과 소스연구 ▲시제품 생산을 위한 공유 인프라 구축 등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협력 방안이 심도 있게 논의됐다. 군산시는 이번 중간보고회에서 수렴된 의견을 바탕으로 오는 9월 최종보고회를 개최, 연내 수립 완료를 목표로 연구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한편, ‘새만금 수산식품 수출가공 종합단지’는 지난해 10월 총 1,700억 원 규모의 민간투자협약(MOU)을 체결한 12개 기업의 부지계약 및 건축 착공이 본격화되며 빠르게 조성되고 있다. 또한, 하루 약 3만 톤의 해수 공급이 가능한 해수 인·배수시설과 내부도로 등 핵심 기반시설 공사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
핵심 거점인 ‘스마트 수산가공센터’는 2026년 말 준공을 목표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강임준 군산시장은 “수산식품 수출단지는 새 정부가 제시한 국정 3대 전략인 ‘미래 선도산업 육성’, ‘수출 경쟁력 강화’, ‘인구감소 대응’에 부합하는 선도 사업”이라며, “육상김 양식 기반 확대와 AI 기반 스마트 HACCP 시스템 도입으로 수산식품 산업을 첨단화해, 전통 제조업의 구조개혁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