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미래발전을 이끌 핵심 사업을 최종 확정해 국가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5일 김관영 도지사 주재로 ‘2026년 국책사업 발굴 최종 보고회’를 열고 지난 6개월 동안 도의 미래를 책임질 핵심 사업들을 발굴한 것을 최종 확정했다.
이날 보고회에는 전북연구원, 전문가, 도 실·국 관계자 등 30명이 참석해 총 10개 분과 30개 사업(약 2조 5,203억)을 선정했는데, 전북의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국가 성장에 기여할 다양한 사업들이 포함됐다.
최종 선정된 사업들은 ▲기업유치분과⇒국립 경제·금융교육연수원 건립(650억) ▲미래첨단산업분과 ⇒ 수소상용산업기계 실증 플랫폼 구축(500억)·스마트센서 클러스터 구축(1,000억) ▲농생명분과 ⇒ 인수공통 연구자원보존센터 구축(300억)·첨단 영장류 생명연구자원 보존·연구 인프라 구축(300억)이다.
이어 ▲문화체육관광분과 ⇒ 중부권 K-치유관광벨트 구축(5,000억)·유네스코 세계해양유산센터(ICMCH) 설립(335억)도 포함됐다.
또 ▲건설교통분과 ⇒ OSC(Off-Site Construction) 건설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5,000억) 발굴 ▲새만금해양수산분과 ⇒ 갯벌식물 아쿠아팜 조성(1,000억) ▲도민안전분과 ⇒ 레이저 센서 기반 내수침수 예측 통합관제시스템 구축(300억) ▲환경산림분과 ⇒ 군산분지 CCS 허브 구축(1,000억)이 제안됐다.
아울러 ▲복지분과 ⇒ 국가보훈정책개발원 설립(500억) ▲교육·외국인분과 ⇒ 서부권 해양환경교육원 설립(300억)이 발굴됨에 따라, 중앙부처와의 협의 및 구체화 과정을 거쳐 2026년부터 국가 예산 확보를 목표로 본격 추진될 예정이다.
김관영 도지사는 “이번 국책사업 발굴은 전북의 강점과 가능성을 최대한 발휘해 지역 발전은 물론, 국가 성장에도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사업들을 제안한 과정”이라며, “발굴된 사업들이 국가계획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군에서 제안한 72건의 사업 중 29건이 선정됐으며, 해당 부서와 관계기관의 보완 작업을 통해 사업화와 국가 예산 반영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