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23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제1차 사회적경제위원회를 열고, ‘제2차 사회적경제 발전 기본계획(안)’에 대한 심의를 진행했다.
이번 기본계획은 전북특별자치도의 향후 5년간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중장기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정부의 사회적경제 정책 변화 속에서 전북형 사회적경제가 나아갈 방향과 구체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기본계획은 크게 4대 추진전략과 12대 중점과제로 구성되었다. 4대 전략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생력 강화, ▲지역사회 문제해결 대응력 확대, ▲사회적경제의 사회적 실천력 향상, ▲사회적경제 협력·지원 체계 확충 등이며, 이를 토대로 87개의 세부사업이 도출됐다.
이번 계획은 또한 정부의 사회적경제 정책기조와 재정여건을 고려하여 5개년 계획을 2단계로 나누어 추진할 방침이다.
1단계(20252026년)에는 정부정책 기조에 대응하는 방안을, 2단계(20272029년)에서는 실행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김종훈 전북자치도 경제부지사는 "전북은 변화하는 정부 정책에 발 빠르게 대응하며 사회적경제 분야에서 우수 모델을 만들어가는 선도 지방자치단체로 평가받고 있다"며, “이번 기본계획을 토대로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하고 육성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기본계획 심의와 함께 분과위원회 신설 등 사회적경제위원회 재구성 계획도 논의되었으며, 전북형 사회적경제 발전 방안에 대한 활발한 토론이 이어졌다.
전북자치도는 이번 심의를 바탕으로 2025년도 사회적경제 발전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