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만 물류 경쟁력 강화라는 국가적 목표와 군산항 발전을 위해 조업권을 양보하고 생존권까지 위협받는 현실을 견뎌온 군산 어민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김제시의 군산새만금신항 관할권 주장에 분노하며, 군산 어민은 이 같은 터무니 없는 주장을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습니다.” 심명수 군산시수협 어촌계 협의회장의 단호한 외침이다.
심명수 군산시 어촌계 협의회장을 비롯한 어촌계원들은 24일 군산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군산 어민의 생존권을 위해 군산새만금신항 관활권을 반드시 지키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군산 어민들은 군산의 역사와 함께하며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삼아왔지만, 새만금방조제 건설로 기존 조업 구역의 70% 이상이 사라졌고, 이제는 군산새만금신항 관할 문제로 생존권마저 위협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14년 전, 신항만 건설이 추진되던 당시 대체어장도 없는 상황에서 새만금 사업 추진은 생존권이 달린 문제여서 군산 어민들은 강력하게 반대했지만, 국가사업이라는 이유로 대승적 양보를 택하며 고통을 감내해 왔음에도, 이제 와서 군산 어민들과 아무 연관도 없는 김제시가 해당 해역을 관할하겠다는 주장은 명백한 도발이며,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일갈했다.
실제로, 군산새만금신항 건설로 인근 무녀도와 비안도 주변 해역을 포함해 약 1,015ha에 달하는 공유수면과 어업권이 사라졌고, 바다 생물의 급감으로 조업 환경은 갈수록 악화됐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심명수 군산시 어촌계 협의회장은 “이 같은 어려움에도 군산 어민들은 신항만 조성을 통한 항만 물류 경쟁력 강화라는 국가적 목표와 군산항 발전을 위해 조업권을 양보하고 생존권까지 위협받는 현실을 견뎌왔지만, 이러한 희생과 양보를 치르면서까지 조성된 군산새만금신항 관할권을 김제시가 요구하는 것은 천부당 만부당하다”고 거듭 지적했다.
이어 “군산새만금신항 인근 해역은 군산 어민들에게 마지막 남은 조업 구역으로, 이는 단순한 관할권 논쟁이 아니라, 한 지역 어민들의 생존권이 걸린 문제이며, 국가가 보장해야 할 최소한의 정의와 형평성마저 무너뜨릴 수 있는 중차대한 문제”라며, “군산 어민들의 생존권을 위해 해양수산부와 전북특별자치도는 더 늦기 전에 새만금신항이 군산의 바다로 남을 수 있도록 분명한 결단을 내려야 하며, 군산 어촌계는 생존권을 지키기 위해 강력한 집단행동과 지속적인 투쟁을 통해 관할권을 지키겠다”고 천명했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