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안전성과 내실을 높이기 위한 실질적 운영 강화에 나섰다. 9일 열린 ‘2025학년도 직업계고 현장실습위원회’에서는 선도기업 인정 심의와 실습 운영 지침 개정 등 학생 중심의 현장실습 체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현장실습위원회는 직업교육 전문가, 직업계고 교원, 기업체 관계자, 노무사, 학부모 등 총 16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로, 연간 10차례 정기적으로 열리며 실습 안건 발생 시 수시로 소집되는 정책 심의 기구다.
이번 위원회에서는 △현장실습 운영 지침 개정 △선도기업 적합성 심사 △연계교육형 실습기관 승인 △지도점검 및 모니터링 체계 강화 등 학생들의 안전과 실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천 과제들이 논의됐다.
특히 선도기업 인정 절차는 '하이파이브(HIFIVE)' 시스템 등록을 시작으로 기업 현장실사와 서면심사 등을 거쳐 직무 적합성, 교육 여건, 산업안전 수준 등을 엄격히 평가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전북교육청은 올해부터 실습 전 안전교육 강화, 실습 중 지도점검 확대, 실습 종료 후 평가보고서 제출 의무화 등 3단계 체계적 관리로 실습의 실효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문형심 창의인재교육과장은 “현장실습위원회는 학교와 기업, 전문가들이 함께 소통하며 실습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통로”라며 “학생들이 실습을 통해 역량을 키우고, 취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더욱 내실 있게 운영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