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디지털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개인정보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커지고 있다. 각종 온라인 서비스와 오프라인 업무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는 관리가 미흡하면 유출·악용 위험에 노출될 수 있어 ‘개인정보 파기’가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실제로 일부 기관과 기업에서 오래된 고객 명부나 서류를 방치했다가 대규모 유출 사고로 이어진 사례가 잇따르며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는 목적이 달성되면 지체 없이 파기해야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관과 개인이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장기간 보관해 사고 위험을 키우고 있다.
이는 개인정보 유출, 사기 피해, 신원 도용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직결된다. 이에 개인정보보호법 등 관련 법령에서는 보유 기간이 종료된 정보는 복구 불가능한 방법으로 즉시 파기할 것을 권고하며, 전자파일뿐 아니라 종이 문서, 업무용 PC, 이동식 저장장치도 예외가 아니다.
이와 관련해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개인정보 보호 의식과 실천력 강화를 위해 8월 8일을 ‘개인정보 파기의 날’로 지정·운영했다. ‘빨리 파기!’라는 구호 아래, 보유 기간이 지난 개인정보 파일과 종이 문서, 이동식 저장장치 자료를 전 직원이 함께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폐기했다. 행사에 앞서 교육청은 파기 매뉴얼을 사전에 배포하고, 본관·별관 출입구에 홍보 배너를 설치해 참여 분위기를 끌어올렸다.
오선화 미래교육과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개인정보 관리의 책임성과 실천력을 높이고, 불필요한 개인정보를 상시 점검·삭제하는 문화를 확산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개인정보를 쌓아두는 것이 아닌 필요한 만큼만 신속하고 안전하게 파기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일상적으로 파기 절차를 점검하고 실행하는 습관이 사고를 줄이는 핵심”이라고 조언한다.
소비자와 사용자 역시 개인정보 제공 시 수집 목적과 보유 기간을 꼼꼼히 확인하고, 불필요할 경우 삭제를 요청하는 등 적극적으로 관리에 나서야 한다. 개인정보 파기는 단순 삭제가 아니라 복구 불가능한 방식으로 처리해야 해 해킹이나 복원 시도로부터 안전할 수 있다.
전북교육청은 이번 행사를 계기로 각 부서별 자체 점검과 정기 파기 절차를 강화하고, 직원 교육을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안전한 개인정보 관리는 결국 신뢰받는 사회를 만드는 밑거름이다. ‘빨리 파기!’가 생활화되어 개인정보 사고 없는 건강한 디지털 사회가 자리잡길 기대한다.
※ 군산타임즈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